본문 바로가기
22전략

[22-45] 스마트 폰으로 사진 잘찍기-클래스101+

by 끼동 2022. 9. 21.


오늘 블로그나 인스타를 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진을 잘 찍어야겠다라고 생각하던 와중에 클래스 101+에서 스마트폰으로 사진 잘 찍는 방법의 강의를 보게 돼서 잽싸게 시청하게 되었다.
클래스 101 강의는 한편 당 짧게 되어있어서 부담 없이 보기 좋다!
내용도 간결하고 반복해서 보기 부담스럽지 않다.
총강의는 9강까지 있으나 3강까지 듣고 배운 내용을 간추려 보았다.
사진에 이렇게 까지 관심 없었는데, 기본적인 원리를 알게 되니 흥미가 생긴다. 역시 처음 배우는 건 다 흥미롭다.😁

노출 조절하는 3가지 방법 (셔터, 조리개, 감도)
카메라란 빛의 양을 조절서 기록하는 장치
빛을 필름에 기록하면 필름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 기록하면 디지털카메라
스마트폰은 디지털카메라의 한 종류
dslr은 디지털 싱글 렌즈 거울, 카메라 안에 반사를 위한 거울이 있고, 거울을 뺀 게 미러리스
빛을 조절하는 방법은 모두 동일하다.
3가지 방법
셔터스피드, 감도, 조리개
- 조리개(F): 빛이 들어오는 구멍 크기, 즉 사람의 동공 크기라고 보면 됨.=F 숫자가 낮을수록 더 밝음, 스마트폰 카메라는 조리개 고정
- 셔터스피드(S): 이미지 센서에 빛을 노출시키는 시간, 셔터: 커튼, 스피드: 커튼을 여는 시간
셔터스피드가 길면 빛을 모을 수 있는 시간이 길어서 밝게 나옴, 짧게으면 어둡게 나옴=S
셔터가 열려 있는 동안 모든 걸 기록함(흔들림까지)
야간-> 빛이 부족-> 느린 셔터 스피드-> 흔들릴 확률 높음 그래서 야간에 삼각대 활용!
주간-> 반대, 주간 야외에서 1초 노출하면 사진은 빛을 너무 많이 받아 하얗게 나옴
- 감도:iso, 센서가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도 50-3200까지 설정 가능
수치가 낮을수록  빛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고 고화질, 수치(800 이상)가 높을수록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저화질
주간에는 밝으니 빛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여 감도를 낮게 하여 고화질, 셔터스피드도 짧게 함
야간에는 빛이 부족하니 감도를 높게 하여 저화질, 셔터스피드도 길게 함
raw데이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원본사진으로 용량도 크나, 아무 보정작업을 거치지 않은 사진이어서 작업하기 수월하고, 고화질로 가능함, jpg 파일로 하면 자동으로 보정이 들어갔기 때문에

보정을 직접 하면 본인이 원하는 결과물을 더 좋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보정하는 게 좋음
보정에 도움이 되는 촬영 팁
1) 어두운 곳보다는 밝은 곳에 노출을 맞추고 보정으로 어두운 곳을 밝기 올리면 됨
2) 애매할 때는 조금 더 넓게 촬영하기(한 발 뒤로 가서)

라이트룸과, 포토샵 설치(월 11,000원)
구글-> 어도비 포토그래피 플랜->2번째 링크-> 포토그래피 플랜
스마트폰 라이트룸 설치

절대 실패하지 않는 기본 구도
1) 수평을 맞추는 것(의도적으로 그런 건 예외)
2) 가이드라인 활용하기
->평범하고, 재미가 없다는 단점

몸이 불편하면(=평소에 보이지 않는 시선) 나오는 특이한 구도
사람마다 다르나, 자기 몸을 불편하게 해서 촬영하라.
1) 낮은 곳에서 위쪽을 바라보게 촬영하는 로우 앵글로 촬영
2) 음식 사진을 위에서 찍는 탑뷰(그림자 안 생기게 중요, 몸을 뒤로 쭉 빼고 팔만 쭉 뻗기)
3) 아이나 반려견의 눈높이에 맞혀서 촬영, 아이레벨 샷

몸이 불편하면 더 색다른 사진을 찍을 수 있다는 부분에서 나름 신선했고, 그 결과물도 뛰어나서 한번 나도 야외에 나가서 시도해보고 싶은 생각이 드는 구도였다. 그리고 음식 사진을 찍을때도 그림자 안생기게 한번 몸불편하게 찍어봐야지 생각해본다.ㅎㅎ